• 2025. 3. 18.

    by. Safety Planet

    위험요인 제거·대체 및 통제: 산업재해 예방의 필수 전략

    산업현장에서의 사고는 예고 없이 찾아오지만, 대부분은 사전에 위험요인을 제거하거나 적절한 통제 조치를 취하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. 위험요인 제거·대체 및 통제는 안전보건관리체계에서 필수적인 과정으로,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.


    1. 위험요인 제거·대체 및 통제란?

    위험요인을 관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**제거(Elimination), 대체(Substitution), 통제(Control)**의 원칙을 따르는 것입니다.

    안전환경보건경영시스템
    출처: 안전보건공단

    ① 제거(Elimination)

   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, 위험 요소 자체를 없애는 것입니다.

    • 예시: 밀폐공간 내 작업이 필요 없도록 구조를 변경하거나, 안전한 설계를 통해 위험한 개구부를 없애는 것.

    ② 대체(Substitution)

    위험요소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면, 상대적으로 안전한 대체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.

    • 예시: 유해 화학물질인 메탄올을 에탄올로 대체하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방식.

    ③ 통제(Control)

    제거나 대체가 어렵다면,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물리적, 행정적, 개인보호구(PPE)를 활용한 통제를 시행합니다.

    🔹 공학적 통제(Engineering Control)

    • 방호장치 설치, 환기장치 도입 등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위험요소와 근로자를 분리
    • 예시: 위험한 기계에 덮개 및 자동 차단장치 설치

    🔹 행정적 통제(Administrative Control)

    • 안전절차를 정비하고, 작업허가제 등을 도입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방법
    • 예시: Lock Out, Tag Out(LOTO) 시스템을 활용하여 작업 중 기계 작동을 방지

    🔹 개인보호구(Personal Protective Equipment, PPE)

    • 제거, 대체, 공학적·행정적 통제가 어려울 때 근로자의 보호를 위해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함
    • 예시: 안전모, 방진 마스크, 방독 마스크, 안전대 착용

    2. 위험요인 제거·대체 및 통제의 효과

    산업재해 예방: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
    근로자의 건강 보호: 유해환경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
    법적 리스크 감소: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준수
    생산성 향상: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으로 업무 효율 증가


    3. 위험요인 제거·대체 및 통제의 사례

    📌 건설현장:

    • 추락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난간 및 덮개 설치
    • ‘추락 위험’ 표지판 부착 및 안전대 착용 필수화

    📌 화학공장:

    • 독성이 강한 물질을 상대적으로 안전한 물질로 대체
    • 유해가스 배출이 많은 공정에 배기 및 환기장치 설치

    📌 제조업:

    • 자동화 공정을 도입하여 기계와 근로자의 직접 접촉을 줄임
    • 기계 점검 시 작업 허가제를 적용하여 오작동 방지

    4. 결론

    위험요인의 제거·대체 및 통제는 산업재해 예방의 핵심적인 전략입니다.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. 기업은 제거와 대체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, 공학적·행정적 통제를 병행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