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2025. 3. 19.

    by. Safety Planet

    평가 및 개선: 지속가능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필수 전략

     

     

   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관리체계는 구축하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. 정기적인 평가와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체계적으로 운영해야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. 이를 위해 기업은 정기적인 안전점검, 위험성 평가, 근로자 의견 반영 등을 통해 지속적인 개선 활동을 수행해야 합니다.


    1. 평가 및 개선의 필요성

    위험요소의 지속적인 제거 및 개선 가능
    법적 의무 준수 및 중대재해 예방
    근로자의 안전보건 의식 향상 및 참여 유도
    기업의 생산성 향상 및 신뢰도 증대

     

     


    2. 평가 및 개선의 핵심 방법

    ① 안전보건 목표 설정 및 평가

    • 사업장별 안전보건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평가
    • 목표 예시: 산업재해 발생률 20% 감소, 아차사고 신고 건수 증가, 안전보건 교육 이행률 100% 달성

    ② 정기적인 안전점검 및 평가

    • 본사 및 사업부서별 정기 안전보건 점검 실시
    • 주요 점검 항목:
      • 위험요인 발굴 및 제거·통제 조치 이행률
      • 기계·설비 정기 검사 실시율
      • 산업안전보건교육 이행률

    ③ 근로자 의견 반영 및 참여 확대

    • 근로자가 안전보건 개선을 위한 의견을 제안할 수 있도록 제도화
    • 신고된 위험요인에 대해 투명한 조치 결과 공유
    • 안전보건 활동을 근무시간으로 인정하여 적극적인 참여 유도

    ④ 내부 감사를 통한 안전 개선

    • 분기별(또는 반기별) 내부 안전감사 시행
    • 감사 결과를 경영진에게 보고하고 필요한 자원 배정
    • 발견된 문제점은 즉시 개선 조치를 취하고 구성원들에게 전파

    ⑤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피드백 시스템 운영

    • 근로자 및 관리자가 안전보건 성과를 평가하고 피드백
    • 평가 결과가 양호하더라도 산업재해가 증가하면 목표 재설정 및 개선
    • 위험요인 발견 시 즉각적인 대응 및 개선책 마련

    3. 평가 및 개선의 성공 사례

    📌 대기업 사례

    • 대기업 A사는 **‘라이프 세이빙 골든 룰(Life Saving Golden Rules)’**을 도입하여, 위험요소가 높은 6가지 유형을 선정해 엄격하게 관리
    • 해당 규칙을 2회 이상 위반한 협력업체는 퇴출 조치하여 안전문화 정착에 기여

    📌 제조업 사례

    • 제조업 B사는 사업장 간 교차감사(Cross Audit) 제도를 도입하여 다른 사업장의 시각에서 안전보건 평가를 수행
    • 이를 통해 객관적인 평가 및 신속한 개선 조치 가능

    4. 결론

    평가와 개선은 단순한 점검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핵심 전략입니다. 기업이 안전 목표를 설정하고, 평가 및 개선 활동을 철저히 이행할 때,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
    🚧 "안전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,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과정입니다!"

     

     

    안전환경보건경영시스템